728x90
반응형
변수는 객체를 참조하는 것으로 객체에 연결된 이름이다.
값을 저장하는 친구가 아니었다.
id함수는 객체의 고유한 값을 출력해주는 함수이다.
a의 id를 보던, 5의 id를 보던 동일한 값을 출력해주는 것을 보아 변수는 단순히 객체에 연결된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a에 12라는 값을 넣고 id를 이용해서 객체의 값을 봤더니 다르게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
객체의 값은 고유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객체의 고유한 값은 아이덴티티라고 부르고 객체의 타입을 확인할 때는 type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아이덴티티로 객체를 구별할 수 있다. 아이덴티티는 고유한 값이기 때문에~~
판정 연산자(is, is not)
a is b => a와 b가 동일한 객체라면 True를, 아니라면 False를 반환한다.
a is not b => a와 b가 다른 객체라면 True를, 아니라면 False를 반환한다.
=
'='은 단순하게 대입이다.
a=b a의 객체에 b의 변수를 연결한다. a가 처음 사용되는 변수라면 새로운 변수가 생성된다. |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데이터 타입 (0) | 2022.02.14 |
---|---|
파이참 python console 오류 해결 (0) | 2022.02.13 |
파이썬 for문에서 _ 의 의미 (0) | 2022.02.13 |
파이썬 randrange와 randint의 차이 (0) | 2022.02.13 |
PEP(Python Enhancement Proposals) (0) | 2022.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