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24

[docker] 이미지, 컨테이너 생성 도커 구성요소도커 클라이언트docker-cli라고도 부르며 터미널이라고 생각하면 편함. dockerd API를 활용해 build, pull, run과 같은 명령을 내리며 도커 데몬과 통신함도커 데몬dockerd라고 부르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데몬 프로세스에 해당됨. 도커 api 요청을 수신하고 도커 이미지, 컨테이너 등과 같은 도커와 관련된 객체를 관리함containerd컨테이너의 실행만 담당하는 runc와 다른 역할을 하며 고수준 컨테이너 런타임에 해당함컨테이너 실행과 관리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런타임, 컨테이너의 생명주기를 모두 관리함. (생명주기: 도커 이미지 전송, 컨테이너 실행,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runccontainerd는 실행 이외에도 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다양.. 2024. 7. 11.
맥에서 패키지 관리자 설치하기 리눅스에서의 apt-get과 같은 패키지 관리자가 맥에도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brew다. https://brew.sh/ko/ Homebrew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brew.sh 해당 사이트에서 시키는대로 하면 설치할 수 있다.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복붙하고 중간에 아래 두개의 명령어를 쳐주면 사용 가능하다.==> Next steps:- Run these two commands in your terminal to add Homebrew to your PATH:    (echo;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sangs/.bash_profile    eval "$(/.. 2024. 7. 9.
[AWS] CloudFront CloudFrontcloudfront는 동적, 정적, 실시간 웹사이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빨리 전달하기 위해 나온 서비스다.  CDN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게 중요하다.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어로 웹페이지가 어디에서 호출되는지, 웹페이지를 호출한 사용자가 어느 지역에 거주하는지 등에 근거하여 웹페이지에 전달해준다.-> cdn을 통해 html, javascript, image 등 컨텐츠들의 로딩 속도를 아주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 한국에서 호스팅중인 웹사이트에 전 세계 각지에서 접근하려하면 지역마다 웹페이지의 로딩 속도가 다를 것이다. (이때 한국은 origin이라고 부름)멀어질수록 더욱 느리다. CDN은 사용자에게 가까운 위치에 있는 Edge Location을 통해 .. 2024. 7. 4.
[AWS] Lambda 람다AWS Lambda는 서버리스를 구현하는데 핵심이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람다가 실행되고 람다 함수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람다는 NodeJS, Python, Java, GO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매달 최초 100만회까지의 함수 호출은 무료로 제공한다고 한다. PoC 진행할 때 좋을 것 같다. 람다는 최대 300초까지만 실행될 수 있고 최대 512MB 만큼의 일시적인 디스크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최대 50MB의 Deployment Package를 허용한다고 한다. 그래서 50MB가 넘으면 S3에 넣고 람다함수에 경로를 지정해주면 된다고 한다.서버리스온프레미스는 서버를 구축하는 초기 비용이 많이 든다. 그리고 사용량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 클라우드는 이러한 온프레미스의 단점을 극복하.. 2024. 7. 2.
[AWS] S3(Simple Storage Service) AWS에서는 저장공간만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그걸 S3라고 부릅니다.S3Simple Storage Service의 앞 글자인 S가 3개라서 S3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S3의 특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1. 파일을 5TB까지 지원합니다. 2. 저장공간을 알아서 조절합니다. 오토스케일링 기능이 내장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저장공간이 무한합니다.3. Bucket이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4. 버킷의 이름은 리전, 가용 영역 내에서 고유해야 합니다. ( 버킷 이름 지정 규칙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 S3에 OS를 올릴 수는 없지만 웹서비스 호스팅은 가능하다고 하다. 웹서비스를 올린 버킷에 Route53으로 도메인을 주면 버킷에 접근하여 웹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다... 2024. 6. 26.
[AWS] VPC(Virtual Private Cloud) VPC란 VPC는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AWS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나눠주는 기능이다.기본적으로 default VPC가 생성되어있는데 여기서는 public subnet만 존재한다고 한다. 그래서 실제 서비스를 aws에서 구축하는 경우에 VPC를 새로 생성해주어야 한다. 대고객 서비스의 경우 public subnet에 위치해야하지만 db나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서버들은 외부에서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해야 보안성이 올라간다. (subnet은 ip 대역대를 의미한다.)   private subnet에 위치한 인스턴스들의 업데이트는 어떻게 진행할까?1. NAT gateway 사용 - public subnet에 NAT gateway를 생성하고 ip를 할당한다. - private subn.. 2024. 6.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