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24 [AWS] ELB(Elastic Load Balancer) 만들기 EC2 인스턴스가 한개라면 모를까 보통 회사들은 서비스의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개의 서버를 만들어둔다.고객은 www.naver.com라는 는 주소를 치고 들어오지만 1호기, 2호기 등 어떤 서버에 붙을지는 ELB가 결정한다. 인스턴스의 부하에 따라 분배를 해주기 때문이다.AWS에서는 ELB를 만들기 위해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을 선택해야한다.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1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를 논리적 그룹으로 묶어놓은 인프라. -> 데이터센터리전(Region): 3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논리적으로 묶어놓은 인프라.근데 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고르라고 하냐면...만약 AZ(가용영역) 1번 안에만 ELB를 구성하고 그 안의 EC2를 대상으로 로드밸런싱을 구현했을 때 1번 가용영역 .. 2024. 6. 21. mariadb 10.11.6에서 root 비밀번호 바꾸기 최초 루트로 로그인한 후 아래 명령어 실행 set password=password(‘바꿀비번‘); flush privileges; 2023. 12. 11. 리눅스 파일시스템 mount 오류 해결 mount /파일시스템 시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파일시스템,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라는 메세지가 떴다. https://itslinuxfoss.com/fix-wrong-fs-type-bad-option-bad-superblock-error/ How to Fix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Error? When a Linux user mounts a filesystem, then they might have come across the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error. This.. 2023. 11. 29. mysql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변경 0. db 접속 mysql -u root -p 비번 설정 안되어 있으면 패스워드 입력하라고 할 때 그냥 엔터 1. mysql db 사용 use mysql 2. 쿼리 입력 alter user ‘test’@‘localhost’ identified by ‘새로운 비번‘; * 뒤에 localhost는 mysql db의 user 테이블에서 확인 가능 (select user, host from user where user = ‘test’;) 3. 쿼리 적용 flush privileges; 2023. 11. 27. 파이썬) 디스코드에 주가 알려주는 봇 만들기 디스코드에 파이썬으로 네이버 증권에 접근해서 원하는 종목의 주가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봇을 만들어 본다. 단계1. 디스코드 채널 만들기 2. 웹후크 연결하기 3. 크롤링하는 코드 짜기 4. 주기적으로 코드 실행하기 디스코드 채널 만들기 디스코드 가입하시고 디스코드 채널 만드시면 됩니다. 웹후크 연결하기 우선 채널을 만들고 톱니바퀴를 클릭합시다. 연동 클릭 웹후크 클릭 웹후크는 초강력 인터넷 파워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새 웹후크 만들기를 해줍시다. 그럼 밑에 자연스럽게 생기는데 한번 들어가봅시다. 웹후크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고, 아래 웹후크 URL 복사가 보입니다. 이 웹후크 URL을 통해 크롤링한 정보를 디스코드로 보낼 수 있습니다. 코드짜기 저는 네이버 증권에서 크롤링 했습니다. 증권 페이지 소스.. 2023. 11. 3. 리눅스 서버에서 파일 시스템 mount / unmount 하기 리눅스 서버에서 파일 시스템을 mount 명령어를 통해 붙이고, umount 명령어를 통해 뗄 수 있다. 파일 시스템 중 nas를 붙여봤다. * NAS란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중앙 집중식 파일 서버로, 여러 사용자가 Wi-Fi 또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TCP/IP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NAS 박스, NAS 장치, NAS 서버 또는 NAS 헤드라고도 합니다. -출처 IBM- mount 명령어 사용법 mount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장치명: 연결할 장치의 이름 (ex: /dev/sda1, devserver1(장치의 hostname)) 마운트 포인트: 연결할 디렉터리 (ex: /sangs) mount /dev/sda1 /sang.. 2023. 11. 3. 이전 1 2 3 4 다음 728x90